Git | Basic | github 기본 사용법 flow
# git clone 뜨기
git clone git@10.123.456.1:Example/repo_name.git
# 최초 push
git add *
git commit -m "rnn lstm model 추가"
# git id/password 설정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juce@jamonglab.com"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juce"
# 둘 중 하나 골라서 setting
git config --global push.default matching
git config --global push.default simple
cat ~/.gitconfig
# 현재 git 폴더 내의 파일 상태 출력
git status
# git remote 의 address 출력
git remote -v
# 현재 폴더에 있는 모든 파일을 추가하고
git add ./*
# (local) git commit -m "[comment]" 를 해서 어떠한 내용들을 추가했는지를 적고
# 파일들을 update 하고
git commit -m "remove duplicate datas"
# local 에 update 된 files 를 push 한다.
git push
# 기존의 git 에 있는 파일들을 pull 해서 현재 폴더에 있는 파일들과 비교해서 뒤처리하고
git pull
# 현재 상태 확인 한 번 하고
git status
# 필요 없는 파일들 삭제하고
git rm juce/*
git rm mansour/*
# (local) 변화된 사항을 commit 으로 update 하고
git commit -m "delete duplicate datas"
# git remote 로 push
git push
# git branch checkout 으로 change 하기
git checkout -b [branch_name]
# git 특정 branch 만 clone 하기 / clone git only single branch
git clone -b gpu --single-branch [git@git_address].git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inux | Ububtu | scp 사용법 | terminal 로 remote 파일 다운로드 / remote 로 upload 하기 (0) | 2015.12.07 |
---|